유튜브

자궁내막증 vs 자궁선근증
어떤 차이가 있나요?



자궁내막증 vs 자궁선근증, 차이점은?


자궁내막증 이름만 들어서는 자궁내막에 문제가 있는 것 같죠? 하지만 실제로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바깥의 난소, 난관, 복막 등에 붙어 증식하며 염증과 낭종, 출혈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이 조직들도 자궁내막처럼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생리 기간 동안 생리통이 동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대장, 방광, 요관 등 주변 장기와 유착을 일으키거나 난소에 혹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층으로 침투해 전체적으로 자궁이 커지게 만드는 질환입니다. 비정상적으로 자궁 근육층에 침투한 내막 조직이 증식하면서 자궁 근육층이 두꺼워지게 됩니다. 자궁선근증이 심한 경우에는 자궁이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도 커질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과 자궁선근증은 둘 다 생리통과 난임 유발하는 질환이며 동반되기 쉬운 질환이라 헷갈리는 분들이 많은데요. 자궁내막증은 자궁 바깥의 장기에 영향을 미치고, 자궁선근증은 자궁 자체에 문제를 유발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진단은 수술을 통해 얻는 조직 검사 결과를 통해 확정되지만, 최근에는 영상 기술이 향상되어 질 초음파나 MRI 검사로도 자궁내막증과 자궁선근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왜 발생하나요?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생리혈이 역류되면서 자궁내막 조직 일부가 자궁 바깥의 난소나 기타 복강 내 여러 장소에 병변을 형성하면서 자궁내막이 발생한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유전 요인, 면역학적 요인, 환경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자궁선근증도 뚜렷한 원인은 없습니다. 하지만 제왕절개나 소파수술, 자궁근종 절제술과 같은 수술의 병력이나, 여성 호르몬 불균형, 자궁내막증이나 자궁내막증식증 등이 있는 경우 발병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 자궁 근육층 조직이 자궁내막 조직과 비슷하게 변하면서 자궁선근증이 발생한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자궁내막증의 흔한 증상에는 생리통, 만성골반통, 성교통, 배변통 등이 있습니다. 특히 이전에 없던 생리통이 점점 심해지거나 생리 전부터 또는 생리가 끝난 이후까지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자궁내막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증은 월경 과다, 생리통, 부정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내막증과 마찬가지로 난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난임을 유발하나요?




종종 자궁내막이 두꺼워지면 오히려 폭신해서 착상이 잘 되진 않을까 궁금해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자궁내막증과 자궁선근증 모두 자궁내막, 난관, 난소에 염증과 유착을 유발합니다. 이 경우 자궁벽이 약해져 착상률이 떨어지고, 수정란이 자궁내막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거나 난소 기능이 저하되어 난임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또 일반 여성보다 유산율이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극심한 생리통, 생리량의 급격한 증가, 골반통, 성교통, 성교 후 질 출혈 등과 같은 이상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 바로 병원에 방문, 초음파 검사와 MRI 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완치 가능한가요?




자궁내막증과 자궁선근증은 환자의 연령과 질환의 정도, 향후 임신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치료 시기와 방법을 결정합니다.

자궁내막증과 자궁선근증 모두에서 진통제와 더불어 경구 피임약, 프로게스테론 제제, 호르몬 분비 억제 주사 등이 약물 치료로써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증에서는 자궁 내 피임 장치 삽입을 통해 통증과 생리량을 감소시키기도 합니다.

약물 치료는 생리 자체를 중단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생리혈 역류를 억제하기 위한 것입니다. 약물을 복용할 때만 일시적으로 생리가 중단되고, 약물 치료를 중단하면 생리가 다시 시작되니 폐경이 빨리 오는 것은 아닙니다.

앞서 말한 치료들을 진행했음에도 증상에 차도가 없거나 오히려 증상이 심해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자궁내막증은 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복강경과 소작술 등으로 가능한 많은 병변을 제거합니다. 자궁선근증의 수술적 치료로는 자궁적출술이 시행됩니다. 수술 후 재발 예방을 위해 호르몬 치료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수술이 가장 빠르고 확실한 치료법이지만, 수술 후에는 난소 기능이 떨어지거나 경우에 따라 임신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추후 임신 계획이 있다면 주치의와의 상담을 통해 난자 냉동을 진행한 뒤 치료하거나, 치료 시기를 늦추는 등의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두 질환 모두 만성적인 질환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 재발률도 높아 6개월마다 정기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주치의의 처방을 잘 따른다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도움말 및 문의 한수진 교수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홈페이지 | https://seoul.chamc.co.kr/default.aspx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블로그 | https://blog.naver.com/cha_seoul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 https://pf.kakao.com/_JuZnM
정기구독신청 차병원 페이스북 차병원 블로그 차병원 카카오톡

차병원 웹진 구독신청

이메일 등록만으로 차병원 웹진 구독 신청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메일은 제외한 다른 메일을 권장합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1. 차병원 웹진 뉴스레터 발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귀하의 개인정보를 수집, 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차병원 웹진 소식 이메일 발송
- 수집 항목 : 이메일
- 수집 방법 : 홈페이지의 ‘정기 구독신청’을 통한 직접 입력
- 보유 기간 : 뉴스레터 수신을 거부하거나 철회의사를 밝힌 경우 해당 개인정보는 즉시 파기됩니다.
- 귀하는 위와 관련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나, 필수정보 수집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뉴스레터 발송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2. 차병원 웹진 뉴스레터 발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귀하의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합니다.
- 수탁자 : (주)차케어스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뉴스레터 발송 및 발송을 위한 시스템 개발/유지보수
- 위탁 기간 : 위탁계약 종료 혹은 뉴스레터 발송 서비스 종료 시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