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7년 02월 2017년 01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10월 2016년 09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6년 06월 2016년 05월 2016년 04월 2016년 03월 2016년 02월 2016년 01월 2015년 12월 2015년 10월 2015년 09월 Search 28동네 책방에서 취향을 발견하다32책방 주인이 골라준 이 가을, 책 한 권04엄마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대표 신생아 검사 506밤낮없이 간질간질, 임신 중 가려움증 왜 생기나요 ?08증상 없는 난소암, 조기 발견이 중요10극심한 불안감의 엄습, 공황장애12나만 추위를 느낀다 ?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의심하라14수험생을 위한 음식 전략16아침 vs 저녁, 시간대별 비타민 섭취 가이드18유전자 변이에 따라 달라지는 암 치료, 맞춤 항암제 찾는 NGS 검사20역아외회전술, 거꾸로 있는 태아의 자연 분만 확률을 높여라 !22나노 입자의 초기 배아 안전성에 관한 연구25망막부터 종양까지, 뭐든 될 수 있는 ◯◯◯◯◯의 비밀34한세열 교수가 병원에서 만난 특별한 기적38‘담’으로 불리는 근막통증증후군 틈틈이 운동이 답36감성 세포 깨우는 웹 드라마 <언제나 토요일> 100배 즐기기40재학생들의 생생 증언 나의 긍지, 차 의과학대학교 ! 42Dr. Berger’s Corner : About Preclinical Test : For Women44의학적 궁금증, 차병원에 물어보세요03차병원보 독자라면 주목해야 할 10월의 핫뉴스46차병원 각 기관 소식48건강 강좌 소개49‘아름다운 동행’ 후원의 집을 찾아서49분당차병원 협력병원 휴앤유병원 함께 만드는 사람들 Publisher : 김춘복 Editor in Chief : 차원희 Editorial Director : 김세진 Associated Editor 재단 마케팅커뮤니케이션팀 : 이나래 대리, 류해린 계장, 김현정 사원 강남차병원 : 홍은영 계장, 김지원 사원 분당차병원 : 엄온누리 사원 차움 : 이서윤 계장 구미차병원 : 최문훤 팀장 대구차여성병원 : 정민규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 이호진 사원 차 의과학대학교 : 윤재민 팀장, 이설희 사원, 노하정 사원 LA 차 할리우드 장로병원 : 송효빈, 이유나 재단 홍보실 : 최미영 팀장, 이영호 과장, 신일환 계장, 김지영 사원, 안효석 과장, 채희형 주임 Translation : 글로벌마케팅팀Photographer표지_ab스튜디오, 내지_봄스튜디오Editorial Design차케어스교정 · 교열박미경Printing팩컴코리아(주)* 차병원 사보에 게재된 기고가의 글은 차병원의 공식적인 의견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INNOVATION이달의 우수 논문나노 입자의 초기 배아 안전성에 관한 연구 차병원이 2018년 7월 5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한 달간 세계적 학술지에 게재한 연구 성과를 소개한다. SCI(Science Citation Index)는 미국 톰슨 사이언티픽(Thomson Scientific, 구 ISI)사가 과학기술 분야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의 색인을 수록한 자료다. SCI에는 설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구축한 1000만 건 이상의 과학기술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며, 특정 논문이나 책 등을 얼마나 많이 인용했는지 알려주는 인용 지수는 물론 어떤 논문에 인용했는지도 알 수 있다. 차병원보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SCI(Science Citation Index)급 학술지에 게재된 우수 논문 중 연구 실적과 논문 인용 지수, 연구 기여도 등을 폭넓게 고려해 엄선한 논문을 매달 한 건씩 소개한다. 이달에 소개할 논문은 2018년 8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 'Biomaterials'에 실린 차 의과학대학교 송행석 교수와 박근홍 교수 공동 연구팀의 논문 ‘나노 입자의 초기 배아 안전성에 관한 연구’이다. 생체에 적용하는 나노 물질의 안전성 검증 필요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로 치료와 진단, 약물 전달 시스템 및 생체 의학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 크기의 입자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노 물질은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간혹 인체에 해로울 수 있어 바이오·의료 기술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세포 및 조직 수준에서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표준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차 의과학대학교 송행석 교수와 박근홍 교수 공동 연구팀은 생체 내 나노 물질의 독성 여부를 평가하는 가장 민감한 지표인 착상 전 배아를 활용해 나노 물질을 사용할 경우 배아 및 태아에게서 발생학적 이상이 야기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림 1. PLGA 나노 입자의 초기 배아 내재화 PLGA 나노 입자의 초기 배아 내재화 및 발생에 따른 추적 송행석 교수와 박근홍 교수 공동 연구팀은 나노 입자를 만드는 기초 물질인 PLGA를 생체 내에서 추적할 수 있도록 소수성 적등색 형광 물질(Tetramethyl-Rhodamine Isothiocyanate, 이하 TRITC)로 채운 후 초기 배아에 주입했다. 이는 우리가 보통 섭취하는 약물의 대부분이 소수성을 띠기 때문에 추후 PLGA를 약물 전달 나노 세포로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기도 했다. 초기 배아를 이용해 PLGA 나노 입자의 안전성 검증 이번 연구를 통해 송행석 교수와 박근홍 교수 공동 연구팀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생식 세포 및 초기 배아가 발생하는 동안 PLGA에 노출돼도 배아의 발생이나 착상 과정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PLGA에 노출된 배아도 정상적으로 건강하게 태어날 수 있으며, 이들로부터 태어난 다음 세대에서도 별다른 발생학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PLGA 나노 물질의 생체 안전성을 확인했다. 더 나아가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임신부에게 노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나노 물질에 대한 태아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제시했다. 강남차병원 분당차병원 구미차병원 / 대구차여성병원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목록